Introduction 이분법 사고방식에 대해서 설명하는 장이다. Content 1. 무엇을 이분법 이라고 하는가? 하나를 두개로 나누는 방법이나 두개 중 하나를 고르는 방법을 이분법이라고 한다. 2. 어디에 이분법을 사용 하는가? 프로그래밍에선 정말 많이 쓰인다. 대표적으로 이진트리 검색을 들 수 있다. if ~ else 문도 이분법이다. 유명한 문제로는 "몇층에서 떨어졌는가?" 를 맞출 때 사용 한다. 참조 링크 http://ja.wikipedia.org/wiki/이분법
책 정리 검색 결과
Introduction 로그란 무엇인지 설명된 장이다. Content 1. 무엇을 로그 라고 하는가? 거듭 제곱된 값을 역산해 지수를 구하는 것/기호을 로그(logarithm)라고 한다. 참조 링크 위키백과 - 로그 http://yeoshim.springnote.com/pages/1042348 2. 어디에 사용 되는가? 그 용도/쓰임는 제곱된 값을 역산하기 위해서 이다. 책에선 "30분당 2배씩 들어나는 박테리아가 1,048,576 마리가 있을 때, 몇시간 전에 한마리인가?" 를 알기 위해서 로그를 사용했다. PS 이러한 역산이 필요한 이유는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3D 좌표계 중 로컬 좌표계가 월드 좌표계 변환되어 사용 된 후, 다시 월드 좌표계가 로컬 좌표계로 사용해야 할 때 처럼 필요할 때가 있을 것이..
Introduction 없음 Content 1. 무엇을 거듭제곱 이라고 하는가? 같은 수를 여러 번 곱하는 연산을 말한다. 예) 3 x 3 x 3 x 3 = 3 ^ 4 참조 링크 위키백과 - 거듭제곱 2. 어디에 쓰이는가? 나는 이것이 어디서 쓰이는지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실질적으로 그 결과를 보지 못했다. 책에서 이 거듭제곱을 설명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주는데, 간략히 정리하면 "사건 하나당 결과 사건 3개가 나오고, 이 결과 사건들 하나당 3개의 결과가 다시 반복된다면, 총 사건 2개가 있을 때, 총 몇개의 사건이 나올 수 있는가?"를 거듭제곱으로 표기했을 뿐이다. 구글에서 "거듭제곱 쓰임, 거듭제곱 사용, 거듭제곱 역할, 거듭제곱 법칙, 거듭제곱 용도" 라고 검색해 보아도, 어디에 쓰이는지에 대해선..
Introduction 수학부분이 약해서, 개념정리하기 위해서 수학책을 몇권 샀다. 그 중에 한권이 "놀라운 수의 세계 - 이야기로 배우는 수학의 원리" 이다. 막상 몇장을 보고 나니까, 이 책은 용어를 정리하는 책이라고 생각 된다. Content 1. 무엇을 시계 산수 라고 하는가? 모듈러 연산, 모듈러 산수, 모듈러 산술 을 뜻한다. 이하 모듈러 연산이라 하겠다. 이 모듈러 연산이란 "어떤 수 n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을 뜻한다. (.. 그러고 보니, 이거 나머지 연산 이잖아?, 용어가 생소하니 전혀 다른 뜻 같다.) 2. 어디에 쓰이는가? 일상 생활에선 시계를 볼 때 쓰인다. 컴퓨터 암호학에서 쓰인다. (어떻게 쓰이는지 나는 아직 모른다.) 특정한 수를 일정한 주파수로 만들기 위해 쓴다. ..
서평 이 책은 SQL에 무엇이 있다고 설명하는 책이다. 그러므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는 자세히 나와 있지 않다. 만약 이 책으로 성능과 유지보수에 힌트를 얻고자 한다면, 다른 책을 골라야 한다. 더 길게 말할것도 없다. 이 책은 가벼운 SQL 입문서 이다. 이 말이 값어치를 못하는 책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의미는 지하철에서 심심할 때 보기 좋은 책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책에 있는 22항목 중 19항목부터 22항목까지는 무척 내용이 적어, 테스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가벼운 입문서이니 감수해야지.책 값은 12,000원이고, 총 22항목으므로, 대략 한 항목당 600원. 좋지 않지만, 그렇다고 나쁘지도 않다.
Introduction 1장부터 22장까지 설명하지 못한 고급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는 장이다. Content 1. 무엇을 제약 조건 이라고 하는가? DB를 사용하다 보면, 정확한 정보만 들어가야 할 때가 있다. 임시 테이블에 값을 넣어 보아 잘 되나 안되나 체크 할 수 있으나, 너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애초에 "이 값 아니면 안받을 꺼다." 라고 으름장(위협하는 것)을 놓는 것이다. 이 제약조건을 넣게 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클라이언트가 제약 조건을 계산하지 않아도 된다. 무결성이 보장 된다. 실제로 가장 흔히 쓰는 제약 조건은 NOT NULL 일것이다. 2. 무엇을 기본 키 라고 하는가? 제약 조건 중 한가지로, 테이블에 있는 특정 열이 가진 값이 고유하게 유지시키는 제약 조건이다. 기본키는..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