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티스토리 임시저장 본 으로 유지하고 있다가 다 날렸슴.. 내 3시간.. 절대쌍교의 가의신공이 생각나는군. 배운게 있다면, 독립적 구성으로 4단계로 구분짓고 저장하는 습관을 기르면 괜찮겠군. 이라고 생각 됨. 템플릿에서 이름을 평가하는 규칙이 왜 중요한가? 가뜩이나 C++에서 이름을 평가하는 방법이 어렵다. 그래서 템플릿까지 끼면 더 어렵다. 어려운 것을 모르고 지나가면, 큰코 다친다. 그래서 중요하다. 만약 C/C++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이게 왜 어려운데?" 라고 반문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이니 그러려니 하자.(운동하고 있는 문체가 운동하고 있는지를 관찰하려면, 다른 운동을 하는 물체와 비교 할 수 밖에 없는 이치와 같다. - 아인슈타인) 템플릿에서 이름을 평가하는 규칙을 알기 전에,..
책 정리 검색 결과
PC/UVa ID : 110207/10258 시작하기에 앞서... 이 문제를 통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 것은 "명확하게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 이 알고리즘 개발의 제일 첫번째 할 일 이라는 것 이다. 이번 문제를 잘 이해 하지 못해서, 여러곳의 글들을 보았지만, 다들 각자 다르게 이해를 했는지, 각자 말하는게 달랐다. 그래서 우선 내가 이해한데로 풀고, 문제의 모범 답안(?)을 보고 코드 리뷰를 했다. 이제서야 "점수 개산 방법"이 무엇인지 알게 되어 정리를 하게 된다. 개요 ACM ICPC의 점수 계산법을 구현하여, 참가팀에 모든 순위를 매기어 정렬시키고 1등 부터 꼴찌까지 출력 하라는 내용이다. 각 팀의 순위는 제일 많은 문제를 맞춘 순이며, 만약 맞춘 갯수가 동일한 팀이 있다면, 벌점이 ..
PC/UVa ID : 110206/10044 사설 문제 풀기는 한 2주 쯤 된거 같다. 에르되시 수를 풀기 위해선 "최단 경로" 알고리즘이 필요 했기에 이 부분이 제일 막혔다. 1주 가량 지하철을 타오면서 실마리를 풀어서, 바로 코딩 작업에 착수 해서 완성하였다. 실마리는 "한번 갔던 길은 되돌아 가지 않고, 갈 수 있는 길로 계속 가면 된다." 아직 이 방법밖에 모르겠으므로, 다른 문제 풀때 한번 알아보자. 개요 에르되시 수 부터 알아야 하는데, 책보다는 에르되시의 수 에서 한번 보길 권한다. 쉽게 설명하면, 에르되시와 같이 논문 쓰면 에르되시의 수는 1이다. 만약 에르되시 수 1인 사람과 같이 논문을 썻다면 나는 에르되시의 수 2가 된다. 마찬가지로 2인 사람과 같이 논문을 썻다면 나는 3이 된다. ..
PC/UVa ID : 110205/10205 사설 이번 문제 역시 이해하기 어려웠다. "실시간으로 카드 섞기를 누적 하지 않고, 한번 다 섞은 후에 누적한다." 라고만 했어도 쉽게 이해 했을 텐데. 개요 52장의 카드를 주어진 방법에 따라 섞는데, 어떻게 섞였는지 출력하라는 것이다. 카드를 섞는 방법은 일명 "밑장 빼기"의 응용버전 인, "원하는 부분의 카드를 빼서 위에 쌓아 올리기" 이다. 즉, 카드의 아래서 위로 순번으로 매길때, 3번의 카드를 빼서 52번째 카드의 자리에 카드를 올려 놓는 섞기 방법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실시간으로 카드 섞임을 누적하지 않고, 섞는 방법들 중 한 가지 방법으로 섞고 난 후에야 비로서 누적한다. 즉, "1번째 카드를 3번째 자리에 넣으라고 했을때, 2번째 자리가 ..
PC/UVa ID : 110204/843 사설 .. 문제를 이해 하는데 엄청난 노력이 필요했다. 일반적을 나는 짜증이 나면, 단잠(30~ 40분)을 자는 스타일인데,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3번은 잠을 청해야 했기에, 얼마나 문제를 이해하고자 노력했는지 스스로가 알 수 있었다. 개요 아주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암호화된 문자를 해독하여, 표준출력을 하라는 내용이다. 여기서 다루는 암호의 종류는 "알파벳 문자 한개를 다른 알파벳 문자 한개로 치환하는 암호"로 흔히 "단문자 암호"라 불리는 암호이다. 그러므로 문제는 임의의 단문자 암호화가 된 문자들이 입력되었을 때, 이 단문자 암호를 깨고, 본래의 문자가 출력되게 하라는 것이다. 임의의 단문자 암호화는 "입력 하는 사람"만 알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PC/UVa ID : 110203/10050 개요 특정 기간 N일 동안, 동맹 휴업을 하는 정당들의 휴업일 총 수를 구하라는 것이다. 정당들의 수를 P라고 했을 때, 정당들의 휴업 지수를 각 h1 h2 .. 라고 한다. 이 휴업지수는 그 지수일자 만큼 일 한 뒤에 1번 쉰다는 뜻이다. 특정 기간 N일 중 1일 째는 무조건 일요일이며, 예외적으로 금요일, 토요일에는 휴업을 하지 않는다. . 여기까지 일반적인 설명이고, 자세한것은 링크를 보길 바란다. 예 ) http://blog.naver.com/nam_s_y/140039960770 http://talsu.net/125 http://www.programming-challenges.com/pg.php?page=downloadproblem&probid=1102..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