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릭한 스타일 코드에선 Boolean 값의 상수에 따라 두 자료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책에 적혀 있다. .. 사실 이런 경우를 겪어 볼 만큼 실력이 있지 않아 이런 경우가 있을까? 란 의구심마저 들지만, 어떤 원리가 있는지만 알아 두자. Boolean 값으로 두 자료형 중 한 자료형을 선택하기 #include template struct Select { typedef T ValueType; }; template struct Select { typedef U ValueType; }; struct TestClass { int a1_; int a2_; int a3_; int a4_; int a5_; }; int main( void ) { std::cout
책 정리 검색 결과
이번장은 어떤 테크닉인가? 2.4에서 배운것은 "템플릿"을 이용하여 메모리 손해를 최하(1Byte)로 하여 상수를 타입(자료형)으로 바꾸었다. 이번엔 템플릿을 이용하여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바꾸는 테크닉이다. template struct Type2Type { typedef T TYPE; }; 손쉽게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을 배우고 나서 이런 생각이 든다. 이걸 어디에 써먹지? 책에선 함수 템플릿의 부분 특수화를 하기 위해서 사용했다. 그러므로 여기에 대해서는 더 이상 언급하지 않겠다. 사실 책에 무척 자세하고 아주 친절하며, 몹시 재미있게 정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나라면, 컴파일 타임 함수 분기에 타입을 이용 한다면 "함수 호출에 따른 복사 생성자 호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용 할 것이다..
이 기술은 내가 제일 아끼는 기술이다. 컴파일타임에 함수 오버로딩을 이용해 분기시키는 기술인데, 가끔식 쓸때마다 정말 재미있다. 이 기술은 다음과 같은 조건일 때 쓸 수 있다. 컴파일 타음에 주어진 상수에 따라 여러개의 함수 중 하나를 호출 해야 할 때 이러한 디스패칭 작업을 컴파일 타임에 결정 할 떄 Effective C++ 3판, 항목 47 : 타입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특성정보 클래스를 사용하자. 에 자세히 나온다. 그래도 이번에 다시 한번 정리해 본다. 상수를 타입으로 만들려면 코드 유틸리티가 필요한데, 다음과 같이 만들자. #include template struct int2type { static int const value = v; }; int main( void ) { std::cout..
일단 아래 코드를 컴파일 해보자. 100% 안될 것이라고? 어디에서..? int C; class C; int X; template class X; struct S; template class S; int main( void ) { return 0; } g++43 [ikpil@localhost work]$ g++ -o template_linktest template_linktest.cpp template_linktest.cpp:8: error: ‘template struct X’ redeclared as different kind of symbol template_linktest.cpp:5: error: previous declaration of ‘int X’ template_linktest.cpp:13:..
C++ 기초 책을 보다 보면, 템플릿에 대해서 10장 분량으로 설명만 하고 넘어간다. 그도 그럴것이 방대한 템플릿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 할려면 출판사와 저자가 책을 두권 낼지 세권 낼지 스타 한판을 해야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른 책들에는 클래스 템플릿의 가상 멤버 함수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는다.( .. effective, excetional 에 없네; ㅋㅋ 비야네 책에서도 못 찾겠다.) 당연한 것이라서 그럴 수도 있다. 그 당연한 것이 무엇일까? 바로 클래스 템플릿의 가상 멤버 함수는 파라미터화 할 수 없다. 즉, 가상 멤버 함수 템플릿은 존재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왜 일까? 현재의 C++ 에서 가상 멤버 함수의 경우, 가상 테이블의 1개의 레코드를 사용 한다. 그래서 컴파일 될 때 몇개의 가상..
이번 장에선 그동안 이야기 하지 않았던 템플릿의 제약 사항이나, 예외 상황에 대해서 정리해 보자. 8.1 파라미터화된 선언의 다양한 형태 이런건 그냥 코드 보면 된다. 선언이 무엇이고 정의가 무엇인지 알기 때문에 선언이 어떻게 파라미터화만 봐도 충분하다고 생각 한다. 그래도 코드는 정의 선언 둘 다 나열해 보자. // 클래스의 파라미터화된 선언 예 template class List { public: // 클래스 템플릿에서 멤버 함수의 파라미터화된 선언 예 template List( List const &); }; // 클래스 밖에서 클래스의 멤버 함수를 파라미터화한 정의 예 template template List::List(const List &) { // ... } // 전역에서 함수의 파라미터화된..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