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책을 구매한지 1달이나 지났는데 지금에서야 꺼내 문제를 풀고 있다. 뭐 하나씩 풀어 보면 도움이 되겠지~ 문득 이 문제들을 보고, 루아로 다 풀어 봐볼까? 란 생각이 들었다. 여러가지 의미로, 이 책을 통해서, if 문을 어떻게 사용해야 되는지 배울 거 같은 느낌이 든다. 난 사실 if문이 제일 힘들다. "무엇을 평가해야 하지?" 란 질문에 답을 잘 못하기 때문이다. 자, 시작해 볼까~ .
책 정리 검색 결과
갑자기 쓰레드에 관련된 이야기가 나와서, 어리 둥절했었다. 이번 항목은 쓰레드간의 안전한 공유를 위한 코딩의 시기와 방식을 어떻게 결정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이번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전에 비유가 되는 한가지 이야기를 생각해 봤다. 어느 마을에 의자를 아주 잘 만드는 사람이 있었다. 그 사람은 구현자이다. 구현자는 의자를 만들때 아주 깔끔하고 튼튼하게 만들기로 유명하다. 구현자가 만든 의자는 호출자에 의해 운반되어 시장에 팔린다. 사람들은 호출자가 운반한 의자가 구현자가 만든 것임을 알고 있기에 의심치 않고 구매를 한다. 어느날 호출자는 다른 시장에도 의자를 팔기 위해서 구현자에게 의자를 더 만들어 달라고 요청을 했고, 구현자는 사람들을 고용하여 의자를 더 만들었다. 다음날 호출자는 일상대로 ..
당신은 은행에 가서 현금 6천만원을 만원권으로 인출하여, 집으로 가려고 한다. 그런데 은행에 나왔을 때 그 6천만원은 모든 사람들에게 보이게 될 뿐만 아니라, 주위에서 이상한 눈초리로 볼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하니, 어떤 생각을 강구해야 될것 같다. 당신이라면 이 현금 6천만원을 어떻게 집까지 가져가겠는가? 나라면, 꼭꼭 숨키거나, 친구들을 불러서 같이 가져가거나, 승용차를 대기시키는 등, 다른 사람이 최대한 적게 볼 수 있는 방법을 사용 할 것이다. C++ 에서 정보라 불릴 수 있는 것이 바로 "돈"이라 할 수 있다. 정보의 가치가 크면 클 수록 더욱 비싸진다. 왜냐하면 이 정보는 아주 좋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사용 하려고 달려 들기 때문이다. 당신이라면 이 정보를 어떻게 가져와 이용할 것인가? 이상..
이런 정석에는 항상 "왜!?" 라는 것이 따라 다니는데... "전역 데이터"를 왜 최소화 해야 하는가? 전역 데이터는, 전역 네임스페이스에 있는 데이터로써, 어디에서건 접근 할 수 있다. 이 말만 들으면, 아주 좋은 자리에 줄을 선 데이터 이다. 하지만 이 "어디에서건"이 매우 복잡한 상태를 초래하게 된다. 자리가 매우 좋으니, 어디에서건 값을 수정 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그 값이 왜 어떻게 언제 수정되었는지 알기가 매우 힘들어 진다. 이런 것이 "아느니 모르니만 못하다" 라는 소리를 듣는 경우이다. 그렇다면, "공유 데이터" 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바로 클래스의 멤버 데이터를 말한다. 이것은 또 왜 문제인가? 바로 전역 데이터 처럼 쓰여지니 문제가 똑같이 된다. 경험으로는. private 멤버 ..
성급하게 비관하지 마라. 불필요한 복사 생성자를 호출하게 한다든지, 루프내에 불필요한 작업을 한다든지, ..... 뭐 기본적인 내용이다. 이런것들은 디자인을 크게 해치지 않으며, 보기에도 불편한게 아니므로, 크게 생각되지 않는다. Effective C++, Exceptiona C++, 등에 이런 자세한 것들이 많이 나오니, 여기서는 이렇게 정리~ 총평 음..~?
라틴 속담 채찍을 때린다고 말이 달리고 싶어지는 것은 아니다. 시작을 "라틴 속담"으로 했는데, 그 이유는, 최적화를 한다고 해서, 그게 최적화가 꼭 되는게 아니라는 말을 하고자 함에 있다. 이번 항목은, 이른 최적화가 왜 좋지 않은지, 무엇이 더 좋은 최적화 인지를 논하는 항목이다. 이른 최적화는 디자인과 코드를 보다 복잡하게 만들고 읽기 힘들게 하며, 비록 성능상에 이점이 있다 해도, 최종 목적이 되는 결과물과 비교해서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 경우는 극히 드믈다. 만약, 코드를 변경하게 될 일이 생기게 될 경우, 더 변경이 까다롭게 된다. 이는 다음의 말을 생각나게 한다. "빠른 프로그램을 정확한 프로그램으로 바꾸는 것보다, 정확한 프로그램을 빠른 프로그램으로 바꾸는게 훨씬 쉽다" 그리고, 최적화를..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