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를 만든 목적 지하철에서 책 보다가 정리할 겸 만들었다. 내용 무엇이 헷갈리길래 구분하는 것인가? 서로 다른 타입이지만, 공통 분모 함수 선언을 갖을 수 있는 점 때문에 헷갈린다. 이러한 헷갈림은 interface 사용법과 virtual 메서드 사용법에 헷갈림을 준다. 다음 사용 예제를 보면, 헷갈릴 것이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IO; using System.Data; using System.ComponentModel; namespace console { class ConsoleClass { pub..
책 정리 검색 결과
포스트를 만든 목적 지하철에서 책 본 것을 정리하려고 관린링크 http://debop.egloos.com/2298224 //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 및 설계 내용 상속은 무엇이고 interface는 무엇인가?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ms173149%28VS.80%29.aspx // C# 상속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ms173156%28v=VS.80%29.aspx // C# 인터페이스 왜 상속보다 interface가 더 좋은가? 상속관계가 없는 서로 다른 타입도 사용 할 수 있다. // interface is better. public void PrintCollection(IEnumerable collectio..
포스트를 만든 목적 이렇게 하지 않으면, 책을 건성으로 본다. 내용 Dispose 는 무엇인가? 관리되지 않는(unmanaged) 자원을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 하는 함수이다. 그러면 unmanaged 자원은 무엇인가? 쉽게 생각해서 "메모리가 아닌 자원" 즉, 윈도우 핸들, 파일 핸들, 소켓 핸들 등 시스템 자원을 뜻한다. 반대로 managed 는.. new List() 등, 메모리 처럼 쓰는 자원들이다.그러면 표준 Dispose 패턴은 무엇인가? Dispose를 IDisposable Interface로 구현한다. Dispose 내부에선 unmanaged 자원을 해제한다. 사용자가 Dispose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를 대비하여, finalizer를 구현한다. finalizer 에서 unmanaged 자..
포스트를 만든 목적 이렇게 해야, 내가 책을 건성으로 보지 않는다. 개요 boxing, unboxing 이 언제 발생 되고, 어떻게 처리 되는지 알아야 한다. 내용 관련 링크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yz2be5wk.aspx // boxing과 unboxing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ms173196.aspx // C# 성능 boxing 과 unboxing이란 무엇인가? C#에선 value 타입과 reference 타입이 존재한다. 이러한 두 타입간의 존재 때문에, reference 타입만을 요구하는 특정한 상황에선, 어쩔 수 없이, 변환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value 타입이 reference 타입으로 변환할..
포스트를 만든 목적 Effective C#을 읽고 공부하려고 남긴다. 내용 관련 링크 http://blog.hoons.kr/blog_post_7.aspx // 가비지 컬렉터에 대한 설명 우선 Garbage 란 녀석이 어떤 녀석인지 알아야 한다. 나는 그냥 메모리 해제 도움이 쯤으로 생각한다. 가비지 컬렉터에 대해서 더 알고 싶다면, 관련링크를 보도록 해라. 어떻게 최소화 할까? 자주 사용 되는 객체는 계속 가지고 있는다. boxing과 unboxing을 최소화 한다. 내부가 변화해야 하는 문자열의 경우 string.Format 이나 StringBuilder 를 이용한다. 관련 코드를 줄 수 있는가? // bad case for (int i = 0; i < 1000; ++i) { Brush brush = ..
포스트를 만든 목적 Effective C# 을 읽고, 공부하려고 만들었다. 내용 관련 링크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yh598w02.aspx : using에 대한 설명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zwc8s4fz%28VS.90%29.aspx : try/finally 에 대한 설명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dszsf989%28v=VS.90%29.aspx : try/catch/finally 에 대한 설명 여기서 말하는 자원이란 무엇인가? 물리적 메모리를 말하며,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힙에 올라가는 변수를 뜻한다. 왜 using과 try/finally를 이용해야 하는가?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