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built post 이 포스트는 "놀라운 도형의 세계 - 이야기로 배우는 기하학의 원리, 크레이프, 샌드위치 그리고 알람브라 궁전들의 장식들"을 읽고 기록하기 위하여 만들었다. Content 1. 무엇을 대칭축 이라고 하는가? 한 직선을 기준으로 양쪽이 대칭이 될 때, 그 직선을 대칭축이라고 한다. 관련 링크 http://blog.daum.net/comehereeveryday/388 2. 어디에 대칭축이 사용 되는가? 대칭축 기준으로 양쪽 형이 같으므로, 한 형에 대해서만 파악 해도, 전체를 파악 할 수 있게 해 준다. Digression 프로그래밍 중 암호화 부분에 대칭형 암호가 있다. 이 것은 하나의 키를 기준으로 암호문과 평문이 서로 대칭 되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책 정리 검색 결과
Purpose-built post 이 포스트는 "Modern C++ Design Chapter 3.13 Typelist를 통한 클래스 생성" 내용을 읽고 정리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2부 내용은 생성 후 각 타입 객체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한 것이다, Content 현재 나는 책 내용과 다르게 진행하고 있다. 책에선 FieldHelper 를 함수로 구현하여, 원하는 요소에 접근을 한다. 나도 마찬가지로 함수 형태로 구현하려 했지만, 한가지 불편한 것이 있었다. 바로 함수는 템플릿 특수화가 되지 않는 점이였다. 나는 이 방법을 해결하기 위해 몇가지 생각을 했었다. (이것은 직관력으로 바로 생각해 낸 것이 아니라, 일전에 내가 고민하다가, 어떨결에 생각난 것이다.) 내가 제안하는 방법은 템플릿 특수화..
Purpose-built post 이 포스트는 "놀라운 도형의 세계 - 이야기로 배우는 기하학 원리, 7장 바퀴 주식회사"를 읽고, 궁금한 것을 인터넷에서 찾아 기록, 정리했으며, 내가 기억하기 위해서 포스트로 남긴 것이다. - 익필 Content 이 포스트는 바퀴를 제작하는 방법이나, 바퀴의 역사, 조합 방법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고 있으니, 이것을 원하는 사람은 다른 곳으로 이동하길 바란다. 1. 무엇을 바퀴 라고 하는가? 막상 바퀴 라는 것을 정의 하려면, 어렵다. 둥글고 잘 굴러가는 것, 이라고 하기엔 너무 추상적이기 때문이다. 결국 위키피아의 힘을 빌려와, 바퀴를 어떻게 정의 했는지 옮겨 본다,. 위키피아 : "바퀴는 굴대에 달린 동그란 물체로, 굴름으로써 마찰을 줄이고 물체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
Purpose-built post 이 포스트는 "놀라운 도형의 세계 - 이야기로 배우는 기하학 원리, 6장 현명한 공주"를 읽고 궁금한 것을 인터넷에서 찾아 기록한 것이며, 나를 위해 정리한 것 이다. - 익필 Content 1. 무엇을 π - 파이, 원주율 이라고 하는가? 파이는 원 둘레 길이와 원 지름 간 비율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선 원주율 이라고 부른다. 그리스 어로 파이 라고 부르기도 한다. 왜 이 비가 중요하냐면, 모든 원은 서로 닮음 이기 때문이다. 서로 닮음이기에 원의 둘레와 지름 간 비율을 안다면, 원의 지름만 알고 있을 때, 둘레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우선 원 둘레를 계산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원을 외접하는 다각형의 둘레가 원의 둘레로 계산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각형의 모서리가..
Purpose-built post 이 포스트는 "놀라운 도형의 세계 - 이야기로 배우는 기하학의 원리, 5장 미스 루트2"를 읽고, 정리한 것이며, 내가 이해한 것이 틀리다면, 피드백을 받기 위해서, 나 스스로가 공부하기 위해서, 이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서 만들었다. - 익필 Content 이 장에서는 프랙탈(fractal), 공배수, 무리수, 귀류법 이라는 키워드가 들어 있었다. 이번 장의 본 주제를 많이 간추리면, 무리수가 존재 한다는 것은 길이 1을 같은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를 표현 할 수 없음으로써,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참조 링크 http://blog.daum.net/_blog/BlogView.do?blogid=0CM0L&articleno=7265841#ajax_history_ho..
Purpose-built post 이 포스트는 "Modern C++ Chapter 3.13 Typelist를 통한 클래스 생성"을 보고, 정리한 것이며, 내가 이해한 것이 틀렸다면, 피드백을 받기 위해서, 나 스스로가 공부하기 위해서, 이 챕터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할 수 있기에, 만들었다. - 익필 Content 3.12만을 통해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타입리스트의 타입 정보만 있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제부터 실제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나는 이것을 다른 방법으로 구현했으나, 이 책의 구현이 더 깔끔하다.) 이제부터 나오는 정리는 다음 사항을 사용 할 수 있는 직관력을 필요로 한다. 템플릿 템플릿 파라미터 혹은 템플릿 템플릿 인..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