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3. 6. 16:19
책 정리/놀라운 수의 세계 - 이야기로 배우는 수학의 원리
목적
배우는 목적은 논리연산을 알아야 더 좋은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용
1. 무엇을 논리연산 이라고 하는가?
논리적 명제 들을 논리 합, 논리 곱, 논리 부정, 베타적 논리합, 동치 등을 하는 것을 논리 연산이라고 한다. 이 말이 잘 이해가 안가는데, 여기서 "논리적 명제" 란 말, 그리고 각 연산들을 모르겠다.
논리적 명제란 "실제로 존재하는 무엇인가를 지칭하는 것:사실"이 ..., 즉 사실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별하는 것 이나 판별하는 문장을 뜻한다. 사람들은 논리적 명제를 "명제" 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논리연산은 이러한 명제들을 연산한 것으로 명제를 합치거나, 명제를 곱하거나, 명제를 부정, 베타적 논리합, 동치 한다는 것을 뜻한다.
참조 링크
- http://ko.wikipedia.org
/wiki/명제
- http://ko.wikipedia.org
/wiki/사실
- http://www.aistudy.co.kr/logic/propositional_logic.htm <-- 명제에 대한 설명들
2. 무엇을 논리 곱 이라고 하는가?
명제가 두개 이상일 때, 두 명제를 합치는 것을 논리 연산 중 논리 곱 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 내 키는 178Cm 이다.
- 내 몸무게는 76Kg 이다.
이 두 명제를 곱하면,
- 내 키는 178Cm 이며, 내 몸무게는 76Kg 이다.
두 명제를 합칠 때, 두 명제가 하나라도 모두 참이여만 참으로 평가되게 나타낸 것을 논리곱 연산이라고 한다.
참조 링크
여담
이러한 눈에 보이지 않는 생각이 인간에게 보편화 된 것, 인간이 이러한 생각에 이름을 붙였다는 것, 즉 생각을 구체화해 실제로 존재하게 만드는 것이 무척 경이롭다!
나머지 논리연산들은 기회가 있을 때 정리 한다.
'책 정리 > 놀라운 수의 세계 - 이야기로 배우는 수학의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장, 최대값, 최소값, 표준편차 (0) | 2010.03.11 |
---|---|
15장, 대표값과 통계 (2) | 2010.03.09 |
14장, 긍정식과 부정식 (1) | 2010.03.07 |
13장, 논리합과 불 대수 (0) | 2010.03.07 |
12장, 논리합 (0) | 2010.03.06 |
11장, 논리연산 - 논리곱 (6) | 2010.03.06 |
10장, 벤 다이어그램 - 3단 논법 (2) | 2010.03.05 |
9장, 집합과 부분집합 (2) | 2010.03.05 |
8장, 분열 (0) | 2010.03.03 |
7장, 산술 삼각형 (0) | 2010.02.28 |
6장, 순열과 계승 (0) | 2010.02.2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그러고 보니, 이거 초등학생 때인가 중학생 때인가 배운것으로 기억하는데, 지금 책을 보니, 난 분명 어렸을 때, 이것을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다.
그리고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다. 는 명제가 될 수 없다. 못했다. 또는 했다. 라고 해야만 명제가 된다.
프로그래밍에서 논리 연산은 비트 논리 연산과 그냥 논리 연산이 있는데, 그냥 논리 연산 중 논리곱, 논리합만 강제하여 나는 사용하는것 같다. 그 이유는 다른 논리연산은 복잡하다고 나는 보기 때문이다.
차차 더 진행되면 어떻게 내가 변할지 모르므로, 현재 시각으로 기록해 두는 차원에 댓글을 단다.
논리곱은 두 명제가 다 참이어야만 참인 것 아닌가요. 둘 중 하나만 참이어도 참이 되는 것은 논리합이구요.
물론 2010년 글에 댓글 달아봤자겠지만...
맞습니다. 수정해 둡니다.